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방법(종류별, 품목별, 지역별),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소찾기 (2025년 최신판)

by 인디v 2025. 9. 12.

    [ 목차 ]

우리 일상에서 매일 배출되는 쓰레기, 제대로 분리하고 계신가요? 올바른 분리배출은 단순히 집안일을 줄이는 차원을 넘어 환경보호와 자원 절약, 그리고 탄소 배출 감소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져옵니다. 실제로 생활폐기물을 정확히 분리배출하면 1인당 연간 약 88kg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고, 전국적으로는 3,000억 원 규모의 종량제 봉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방법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생활폐기물의 종류별·품목별 분리배출 방법과 지역별 차이점, 그리고 우리 동네 재활용품 배출 장소를 찾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작은 관심이 지구와 우리의 미래를 살리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생활폐기물 종류와 분리배출 기본 원칙

생활폐기물은 크게 재활용폐기물, 음식물류폐기물, 일반종량제폐기물, 불연성종량제폐기물, 대형폐기물, 생활계 유해폐기물, 공사장 생활폐기물 등으로 나뉩니다.

  • 재활용폐기물: 종이, 종이팩, 플라스틱류, 비닐류, 유리병, 금속류, 의류, 전지, 조명제품, 전기·전자제품 등
  • 음식물류폐기물: 남은 음식물, 과일 껍질 등
  • 일반종량제폐기물: 재활용 불가한 오염된 쓰레기, 1회용품 등
  • 불연성종량제폐기물: 깨진 유리, 도자기류, 타일, LED 평판형 조명 등
  • 대형폐기물: 가구, 가전, 매트리스, 의자 등 부피 큰 생활용품
  • 생활계 유해폐기물: 페인트, 폐형광등, 폐전지, 살충제 용기 등
  • 공사장 생활폐기물: 소규모 인테리어 후 발생하는 폐자재

기본 원칙은 “깨끗하게, 품목별로, 지정된 장소와 시간에” 입니다.

특히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묻은 재활용품은 반드시 세척 후 배출해야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바로가기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품목별 분리배출 방법 (2025년 최신 가이드)

(1) 종이류

  • 골판지: 테이프, 송장, 철핀 제거 후 접어서 묶기
  • 기타 종이: 코팅된 전단지, 스프링 노트, 비닐 제거 후 배출
  • 종이컵: 압착 후 봉투에 넣거나 묶어서 배출 (자원순환보증금제 대상은 무인회수기 또는 매장 반환)
  • 젖거나 이물질 묻은 종이: 일반 종량제 봉투

✔  재활용 과정: 제지업체에서 펄프화 후 신문지, 화장지, 골판지 등으로 재생산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2) 플라스틱류

  • PET, PP, PE, PS 용기: 내용물 비우고 헹군 뒤 배출
  • 치약용기처럼 세척이 어려운 경우: 내용물만 비우고 배출
  • 혼합재질(펌프형 용기, 멜라민 그릇, CD·DVD 등): 일반 종량제 봉투
  • 생분해성 수지제품(PLA): 별도 표시가 있으므로 일반 플라스틱이 아닌 지정 방식으로 배출

✔  재활용 과정: 파쇄·세척·용융·압출 → 플레이크 칩으로 재생산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3) 유리병

  • 맥주병, 소주병, 음료수병: 내용물 비우고 헹군 뒤 배출
  • 색상별(무색, 갈색, 녹색)로 구분되는 경우 지자체 규정에 따라 분리
  • 깨진 유리: 신문지로 싸서 불연성 종량제 봉투로 배출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4) 금속류

  • 캔류(철캔, 알루미늄캔): 내용물 비우고 헹군 후 배출
  • 부탄가스, 살충제 캔: 구멍 뚫거나 노즐 눌러 가스 제거 후 배출
  • 고철류(냄비, 공구, 우산 등): 재질 혼합 시 일반 종량제 봉투

✔ 재활용 과정: 철·알루미늄·스테인리스로 선별 후 제철소에서 용융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5) 조명제품

  • 형광등, LED 전구형: 깨지지 않도록 형광등 전용 수거함 배출
  • LED 평판형·십자형·일체형: 불연성 종량제 봉투 또는 대형폐기물
  • 깨진 조명: 신문지로 감싸 안전하게 배출

✔ 재활용 과정: 파쇄 후 유리, 알루미늄, 플라스틱, 수은 등 회수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6) 전지류 및 전자제품

  • 폐건전지: 동주민센터, 아파트 전용 수거함
  • 휴대폰, 소형가전: 지자체 또는 판매처 수거함 이용
  • 대형가전: 대형폐기물 신고 후 수거

👉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바로가기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주택 유형별·지역별 생활폐기물 배출 방법

(1) 단독주택

  • 일반/음식물폐기물: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
  • 재활용품: 투명 봉투에 혼합 배출, 다만 투명페트병·종이는 별도 배출
  • 배출장소: 지정된 공동배출장소 또는 내 집 앞

(2) 오피스텔·상가건물

  • 건물 내 지정 분리수거함에 품목별 배출
  • 분리수거함 미설치 시 건물 앞에 모아 배출
  • 일반폐기물·음식물: 지자체 수거, 재활용품: 지자체 또는 민간 수집

(3) 공동주택(아파트)

  • 단지 내 분리수거함 상시 배출 가능
  • 다만 일부 단지는 특정 요일, 특정 장소(톤백 마대)에 모아 배출
  • 폐전지·폐형광등: 별도 수거함 배치

(4) 고정식 공동배출장소 (재활용 동네마당 / 클린하우스 등)

지방자치단체가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에 설치한 재활용 전용 배출장소입니다.
지역마다 명칭은 다르며 재활용동네마당, 클린하우스, 재활용도움센터, 자원순환가게, 재활용정거장 등으로 불립니다.

  • 일반적으로 재활용폐기물 상시 배출 가능
  • 일부 장소에서는 일반폐기물과 음식물폐기물까지 배출 가능
  • 재활용폐기물만 배출하는 곳이라면, 일반폐기물·음식물은 단독주택과 동일하게 내 집 앞에 배출해야 함
  • 배출요일과 시간: 대부분 상시 배출 가능, 다만 일부 지역은 요일·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있음

  모든 지역은 정해진 요일·시간 준수가 중요합니다. 무단 배출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고정식 공동배출장소는 주민 편의를 높이고 불법투기를 줄이기 위해 확대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 동네 위치는 지자체 홈페이지나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출처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우리 동네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소 찾는 방법

2025년 현재, 환경부와 각 지자체에서는 온라인 기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우리동네 배출장소 확인하기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주소 입력 시 우리 동네 배출장소 확인 가능
  • 품목별 배출방법 검색 가능
  • Q&A 게시판 운영 (궁금한 품목 문의 가능)
  • PC·모바일·태블릿 모두 지원, 시각장애인 음성 서비스 제공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위치 기반 지도를 통해 가까운 재활용품 수거함, 형광등/폐전지 수거함, 대형폐기물 신고 방법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생활폐기물은 매일 배출되는 만큼 올바른 분리배출이 매우 중요합니다. 작은 습관이 모여 지구의 탄소 배출을 줄이고, 쓰레기 처리 비용을 아끼며,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오늘부터라도 내 주변에서 올바른 분리배출을 실천해 보시면 어떨까요?

빈용기 보증금 제도_빈병 반환시 환불 금액(최대 350원) 및 무인 회수기 위치 찾기 등 완벽 정리!

 

빈용기 보증금 제도_빈병 반환시 환불 금액(최대 350원) 및 무인 회수기 위치 찾기 등 완벽 정리!

소중한 자원은 돌려쓰고, 작은 혜택은 챙기세요 😊자원순환과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는 요즘, 우리가 일상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제도가 있습니다.바로 ‘빈용

infospot-k.hoonilove.com

 

☆ 관련 내용 출처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탄소중립 생활실천 안내서 (환경부)